이소연은 논란의 인물이기도 하다. 오해와 곡해로 인한 모습도 틀림없이 존재하는 반면에, 공식 발언과 행동에 대한 아쉬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가끔씩 계산한 것으로 착각해서 의도치 않게 무전취식하는 경우가 있는데, 웬만해선 가게 주인이 돈을 내지 않았다고 알려준다.
히나마츠리 - 안즈: 돈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현 세계로 온 뒤에는 상점가에서 계속 먹을 것을 훔쳐 먹었다.
심지어 인게임의 한 유저가 지금의 논란에 관해 물어보자, "지금은 스킬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유발해 의도적으로 해당 채팅(질문)을 가렸다.
세글자는 '마지막 배려'라는 뜻으로 당사자의 프로필 사진과 이름을 모자이크했으며, 이 일로 인해 갑작스럽게 하루 휴방을 결정했다.
프로레슬러인 그랜드 마스터 섹세이는 생전에 사고를 여러 번 쳤는데, 그 중 무전취식도 있었다.
사우스 코리안 파크 - 김도혁: 편의점에 있던 샌드위치를 그냥 가져가거나 인력사무소에서 커피만 한 잔 타고 나왔다.
다만, 무리뉴의 우선 순위는 언제나 드록바였고 크레스포 본인 역시 영국 생활 자체를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적 의사를 밝혔고 결국 남은 계약 기간 동안 인터밀란에서 임대를 가게 되었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 쿠죠 죠타로: 식당의 주인이나 종업원의 태도가 수준 이하인 경우 돈을 안낸다. 사실 이건 죠타로의 불량아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묘사 중 하나인데 정상적인 원작에서는 무능하고 거만한 교사를 혼쭐내줬다는 먹튀검증 대사가 메가톤맨 당시에는 정서상 문제가 있다고 받아들여져인지 맛이 없는 음식은 돈을 안 내는 걸 길게 말해서 생겨난 결과.
그래도 배팅 금액이 수십~수백대의 비교적 소액 규모에 그쳤거나 자수한다면 가벼운 벌금이나 기소유예 등 중하지 않은 처벌로 끝날수도 있으니 발을 잘못 들였더라도 낙심하지 말고 법조인의 도움으로 재기의 길을 모색하는 것도 방법일수도 있다. 물론 최선은 애초에 발을 들여놓지 않는 것이지만 말이다.
사이트가 차단되거나 피신고자가 검거된다면 신고자에게 포상금이 지급된다.#
인수 이후 여러 차례 정책을 개정하며 창작자의 홍보 투자를 플랫폼의 수익으로 전환시키는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구축함으로써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수익성을 새로이 개선하였다는 점에서 플랫폼 사업성에 관한 최근의 흐름에서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 크라우드 펀딩은 절대액 자체가 낮기 때문에 보통 텀블벅 펀딩만으로 게임 개발 비용을 충당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속어이자 약자의 일종으로, 먹고 튀다의 줄임말이며, 정당한 대가를 치르지 않거나 이익만 챙겨서 떠나는 행위를 말한다.